Skip to end of metadata
Go to start of metadata
  • SW 기본정보 
    • 팀명 : 313 DEV GRP )

 

  • SW 명
    • jsTree Service Framework ( TSF )

 

  • SW 요약
    • 확장 Tree Model을 활용한 Java Application(범용) 의 Service Framework 활용.

 

  • SW 개요
    • 서론
      1. 날로 복잡해지고, 급격하게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구현하면 빠르게 반영할 수 있지?
      2. 자꾸 변화 추가되는 기능을 구현하면서 코드의 일관성을 어떻게 유지 할 수 있지?
      3. 외주 개발자, 혹은 프리랜서 개발자를 고용하여 개발 했을때 Code 유지보수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지?
      4. 우리는 각종 프레임워크가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는 제어할 수 있지만, 서비스 레이어( MVC ) 코드는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.
      5. 따라서, 우리는 서비스 레이어의 프레임워크 화가 필요하며, 이를 위한 모델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.
    • 본론
      1. 우리는 확장형 단일 Tree 모델을 활용하여 데이터 객체를 처리하는 공통 서비스 및 처리 방식을 구현했습니다.

        설명그림

        TSF는 바로 이 부분에 적용하는 프레임워크

         

        TSF는 Tree의 Node를 좌표화하여 DB에
        저장하고 구조를 유지합니다.

        TSF는 MVC 패턴의 모든 모듈과 컴포넌트
        의 Base Object를 제공하고 이를 확장하여
        개발하면 서비스 레이어 코드를 일관하게
        유지할 수 있음을 검증했습니다.
        중앙처리 방식을 사용하다보니
        많은 부분에서 장점이 생겨났고,
        우리는 어디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
        집중하여 관리해야 하는지를 알게되었습니다
    • 결론
      1. 서비스 코드가 매우 일관된 형태로 구성되었으며,
      2. PLE (product line engineering) 의 장점을 그대로 수용하여 핵심자산의 재사용이 극대화 되었습니다.
      3. 이로써, 품질개선, 생산성 향상, 비용 절감, 출시 기간 단축 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.
    • 추가 결론
      1. 우리는 이 효과를 증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.
      2. 그래서 우리는 jsTree Service Framework 를 활용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하기로 하였으며, ( http://www.313.co.kr : Rival War )
      3. 구축 결과, 우리가 의도한 효과를 입증 할 수 있었습니다.
    • 검증용 사이트를 구축 중 jsTree Service Frameork 의 변화
      1. java Application 의 다양한 프레임워크 대응이 필요하여 프레임워크별 버전을 구축 : Struts, Spring, iBatis, Hibernate 등.
      2. 실시간 성격의 데이터 통신에 대응하기 위한 Dwr Version 을 구축.
      3. PK-FK 대응을 위한 샘플 코드 구성

 

 

Labels
  • None